2012. 9. 8. 00:48ㆍ교훈이 되는 이야기
이곳은 의식의 진화를 극대화 하기 위한 곳이며 부정적인 카르마를 취소하고 긍정적인 카르마를 얻기 위한 가장 최적의 장소입니다. 당신이 접해온 모든 변화의 단계들과 모든 기회들이 (의식성장을 위한)최상의 환경인 것이죠. 당신이 이렇게 끌리거나 이런 것에 반감을 가지는 곳처럼… (의식 성장을 위해) 세상은 최상의 기회를 제공합니다. (예전처럼) 신을 위해서 혹은 부모를 위해서, 조국과 처자식을 위해 혹은 국왕이나 다른 어떤 것을 위해서건 총탄이 빗발치는 전장에 나아갈 필요는 없습니다. 그러면 어떻게 당신이 (임계점인) Cal200을 넘어설 수 있을까요? 어떻게 200을 넘어설 수 있을까요? (How are you gonna cross over two hundred?) 그냥 당신의 머리로만은 할 수가 없습니다. 빗발치는 총탄 속으로 걸어 들어 갈 날이 올 것입니다. ‘내가 믿는 바를 위해 기꺼이 죽겠다.’ 빵~ 이제 당신은 Cal 200이상입니다.
제가 언급한 바와 같이 여성들은 여러 시대 동안 출산을 통해서 이를 겪어왔습니다. 출산으로 인한 죽음의 위험은 무척 높았지요. 출산으로부터 생존할 수 있는 기회는 솔직히 매우 적었습니다. 아이를 낳으면서 고열로라든가, 임신 중독증과 같이 오늘날 다루는 모든 질병과 같은 것들이죠. 때문에 출산시 여성이 마주치는 것은 거의 죽음에 가깝습니다. 대단히 말이지요… 만일 당신이 1700년대나 1800년대 그러한 출산의 경험을 충분히 했었다면, 금방 이해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이하 애매하게 들리는 부분이라 중략^^;)
여자들은 어린 시절에나 출산하는 시기에서처럼 언제나 항상 죽음에 대한 두려움에 직면합니다. (So the woman faces the fear of death in childhood in childbirth birth all the time.) 아시다시피 남자들의 경우는 전통적으로 이를 전쟁 중에 겪습니다. 때문에 지금 이 세상은 카르마적으로 최상의 기회입니다. 전쟁이 아니면 배울 수 없는 특정한 것들을 당신은 전쟁을 통해 배웁니다. 그렇지 않으면 폭탄이 폭발되는 것과 같은 실제적인 경험을 마주할 수 없습니다. 정말로 무지막지하게 당신과 당신의 동료 사이로 폭탄이 떨어지는 것과 같이 말이지요.
당신의 조국에 대한 봉사라든가, 여왕에 대한 의무, 왕에 대한 등등 무엇이 되었던 그런 것이 아니면 일어날 수 없는 것이죠. (여성의 경우처럼) 출산에서 말 그대로 죽다 살아나는 그러한 경험이 없이는, 당신은 절대로 아이의 생명을 위해서라든가 아이를 구하기 위해 당신의 목숨을 담보로 (임계점인 200을) 넘어서는 일을 할 수 없습니다. 실제로 이것을 겪어야만 하는 것이죠. 때문에 출산의 고통은 정말로 매우 숭고한 것입니다. (The pain of childbirth is real real real real thing.)
우리 중에 상당수의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모든 인류가 지니는 것에 대한 아무런 공감대 없이 이러한 거대한 장애물들을 절대로 넘어설 수가 없습니다. (Many of us has never been able to cross these great barriers except by identification with mankind in general.) Susan이 출산을 하는 동안 전 시대를 걸친 모든 여성들에 대한 생각을 했었다고 언급한 것처럼 말이지요. 누가 이러한 위기에 직면하였습니까? 사실 그들은 그럼으로 당신에게 강력한 힘을 주었습니다. 저의 경우 혹독했던 상황들을 기억해 본다면, 내전중의 기억을 회상해 봅니다. (And myself remember severe conditions, and I said, I picture the civil war) 수많은 사람들이 그들의 다리가 잘려 나간 채 전장에서 누워있습니다. 어떤 사람은 손이 잘려 나갔구요. 어떤 이는 머리가 잘려나갔습니다. 어쨌거나 우리 인간은…. 인간은 그것을 초월하고 다룰 수가 없습니다… (Somehow the human… the human can’t transcend and can’t handle it.)
때문에 산고를 통해, 마치도 거대한 쓰나미와(like a great tsunami) 같다고 한다면, 그러한 엄청난 산고를 통해 우리는 인류라는 유대감을 서로가 가지게 됩니다. 그렇지 않다면 이것은 단지 말로만 끝나는 강연일 뿐입니다. 별의 별 사람들이 군중을 모아놓고 평화나 사랑에 관해 일장 연설을 하지만 죄다 허튼 소리지요. (All kind of jerk skit up there make peace speeches and love and all the crap.) 제 말을 아시겠어요? 왜냐하면 그러한 유대는 가슴으로부터 우러나와야만 하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스코틀랜드의 군악대(tattoo in Scottland)를 보러 갔을 때가 기억나는군요. 수 백명의 백파이퍼들이 일제히 다가왔습니다. 백파이프의 신명들린 소리(the skirl)가 그냥 슉~ 하고 들려왔습니다. 그것은 개인적인 것을 넘어서 있는 어떤 것이었지요. 우리를 움켜 잡는 그것은 인류의 가슴이었습니다. (the heart of humanity) 백파이프의 소리는 Cal 510이나 Cal 520입니다. 때문에 당신이 그 소리를 들을 때 맛이 가게 됩니다. 등골이 오싹하지요 왜냐하면 이는 확실한 죽음의 행보이기 때문입니다. 이기거나 혹은 죽게 되는 겁니다. 백파이프의 소리가 그러한 효과를 가지는 것은 모든 인류의 유대감으로부터 비롯되기 때문입니다. (So when the skirls do that then comes from the bonding of all of humanity.)
우리 모두는 서로 비개인적인 토대 위에서 인류로써 서로 유대를 맺고 있으며, 이는 우리의 가슴으로부터 우러나오는 서로에 대한 사랑이며, 모든 인류가 하나임인 바로 그것이 바다의 수면을 들어 올리는 것입니다. (We all bond with each other as humanity in on impersonal basis and it’s our love for each other that goes out through the heart, of our oneness of all humanity that what’s lifts the sea.) 또한 모두가 함께 하는 기도와 같이 그러한 모든 것은 매우 좋은 것입니다. 하지만 당신이 모든 인류와 유대하는 공감대를 느끼지 않는다면 당신은 그들을 끌어 올릴 수가 없습니다. 당신은 바다의 해수면을 상승시킬 수 없습니다. 때문에 모든 인류가 함께 기도하기를 원하는 다가오는 이날에 우리가 하는 것이란 바로 그것입니다.
전인류의 공통된 가슴과도 같은 인류를 위한 당신의 유대와 사랑 그리고 그러한 공통된 가슴의 힘이 바로 우리 모두를 아직도 살아 숨쉬게 하는 것이라는 것을 당신은 확인하게 됩니다. (You reaffirm your bonding of your love for mankind which is like the collective heart of mankind and the power of that collective heart is what keep us all surviving.) 왜냐하면 인간의 삶이란 매우 힘겨운 것이기 때문입니다. (Human life is extremely difficult) 하하하 인간의 삶이란 아주 어려운 것입니다.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 사람 있나요? 하하하하 인간임 스스로의 가슴과 하나임을 인정함으로, (Owning of the oneness of the heart of humanness itself) 우리는 그것을 지니게 되며, 우리는 그것이 되고 그것의 힘이 됩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삶의 모든 장애들을) 초월할 수 있는 힘을 지닙니다. 우리가 존재하는 바와 같이 인류의 가슴을 지니지 않고서, 당신은 그 어떤 평화도 가져올 수 없습니다.
(Dr. 데이비드 호킨스, Conviction, 2005년 7월 강연 中)
'교훈이 되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호킨스 박사님이 대천사를 만나신 경험 (2008년 12월 강연 가운데) (0) | 2012.09.08 |
---|---|
[스크랩] Consciousness: The Way out of Addiction (dvd강연) (0) | 2012.09.08 |
[스크랩] 참조하세요... (0) | 2012.08.31 |
[스크랩] 모태 신앙인으로 살면서, 내가 보는 예수와 기독교. (0) | 2012.08.31 |
[스크랩] 쌍윳다니까야 이야기 1 (0) | 2012.08.31 |